책을 읽다 보니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송나라의 자한은 왕에게 말했다. “칭찬하고 상을 내리는 것은 백성들이 좋아합니다. 군주께서는 늘 존경을 받으셔야 하니 이것만 하십시오. 벌을 내리는 것은 다들 싫어합니다. 그런 일은 제가 처리하겠습니다.”

이에 왕이 기뻐하고 자한에게 그 일을 맡겼다. 당연히 자한의 악명은 높아졌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백성들과 신하들은 왕이 아닌 자한을 두려워하고 자한을 따르기 시작했다. 결국, 자한의 권력은 점점 강해졌고 이를 기반으로 왕을 몰아내었다.

나는 지난 리더십 시리즈들에서 주로 리더들의 진정성, 공감, 소통 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말은 리더가 마냥 '착한 사람'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착하고 좋은 사람을 추구하는 리더는 대개 모두를 기쁘게 하려 한다. 구성원들이 불편하더라도 솔직한 피드백을 주기보다는 좋은 말만 하려 한다. 미움받기를 두려워한다. 성과 달성보다 구성원들의 감정에 과도하게 예민하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착하고 좋은 리더를 좋아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다. 셈이 빠르고 정치력이 강한 사람들은 착한 사람들을 '호구'로 여기는 경우도 종종 있다.

계산이 빠르고 정치적인 부하들은 착한 상사를 이용하기도 하고, 동료나 상사들은 그를 희생양으로 쓰기도 한다. 그저 착하고 좋은 리더는 구성원들을 신경 쓰느라 구성원들을 제대로 훈련을 시키거나, 성과를 창출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동료와 상사 사이에서 자신의 조직의 필요와 성과를 제대로 어필하지 못해서 조직을 저평가받게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나도 최고층에 오른 리더들을 많이 보았지만 그저 착한 사람, 좋은 사람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직을 잘 다루는 분들은 공통적으로 '강함'과 '부드러움'을 잘 조합한다. 사람마다 섞는 비율이 약간씩 다를 뿐 절대 '강함'을 놓지 않는다. 썩은 사과에 대해 단호하지 않으면 모든 사과를 썩게 만들 수 있고, 두려움이 없으면 함부로 선을 넘는 이들이 나타난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평소에는 부드러워 보이지만 필요할 때는 매우 강하다. 상황에 따라서 매우 솔직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강하게 지시한다. 잘못에 대해서는 크게 혼을 내어 해당 문제가 심각한 것임을 각인시키기도 한다. 일에 있어서 자신을 타인과 사적으로 섞지 않고 경계를 설정한다. 사람을 배려하지만, 성과 지향적이다. 다른 강자들 사이에서도 자신의 조직을 어필하고 배짱을 가지고 대한다. 미움받을 용기를 감수한다.

물론, 강함과 두려움으로 지배하려는 리더는 공감과 따스함을 더 품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저 '좋은 리더' '착한 리더'가 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부드러우면서도 강할 필요가 있고 약자에게는 약하지만, 강자에게는 강해야 한다.

그래서 나쁜 리더가 되지 않으면서도 조직을 하나로 만들어 좋은 성과를 내려면, 리더들은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신수정 칼럼을 ‘신수정 TV’에서 만나보세요.